설계
문장들을 회전하게만들고 중앙 부분은 진하게 양쪽은 투명하게 만들도록 하겠습니다.
@keyframes slide {
0% {
transform: translateY(0);
}
6% {
transform: translateY(-17.5%);
}
33.3% {
transform: translateY(-17.5%);
}
39.3% {
transform: translateY(-35%);
}
66.6% {
transform: translateY(-35%);
}
72.6% {
transform: translateY(-52%);
}
100% {
transform: translateY(-52%);
}
}
.slide {
height: 14rem;
overflow: hidden;
/* background-color: aqua; */
/* animation: slide 2s linear; */
}
.slide div {
animation: slide 5s linear infinite;
}
.slide h2 {
font-size: 2.5rem;
text-align: center;
margin: 1rem 0;
color: darkblue;
opacity: 0.1;
}
@keyframes text1 {
0% {
opacity: 1;
font-size: 2.6rem;
}
6% {
opacity: 0.1;
font-size: 2.5rem;
}
33.3% {
}
39.3% {
}
66.6% {
}
72.6% {
}
100% {
opacity: 0.1;
font-size: 2.5rem;
}
}
.slide div h2:nth-child(2) {
animation: text1 5s linear infinite;
}
@keyframes text2 {
0% {
opacity: 0.1;
font-size: 2.5rem;
}
6% {
opacity: 1;
font-size: 2.6rem;
}
33.3% {
opacity: 1;
font-size: 2.6rem;
}
39.3% {
opacity: 0.1;
font-size: 2.5rem;
}
66.6% {
}
72.6% {
}
100% {
opacity: 0.1;
font-size: 2.5rem;
}
}
.slide div h2:nth-child(3) {
animation: text2 5s linear infinite;
}
@keyframes text3 {
0% {
opacity: 0.1;
font-size: 2.5rem;
}
6% {
}
33.3% {
opacity: 0.1;
font-size: 2.5rem;
}
39.3% {
opacity: 1;
font-size: 2.6rem;
}
66.6% {
opacity: 1;
font-size: 2.6rem;
}
72.6% {
opacity: 0.1;
font-size: 2.5rem;
}
100% {
opacity: 0.1;
font-size: 2.5rem;
}
}
.slide div h2:nth-child(4) {
animation: text3 5s linear infinite;
}
@keyframes text4 {
0% {
opacity: 0.1;
font-size: 2.5rem;
}
6% {
}
33.3% {
}
39.3% {
}
66.6% {
opacity: 0.1;
font-size: 2.5rem;
}
72.6% {
opacity: 1;
font-size: 2.6rem;
}
100% {
opacity: 1;
font-size: 2.6rem;
}
}
.slide div h2:nth-child(5) {
animation: text4 5s linear infinite;
}
@keyframse
@keyframse 는 CSS 애니메이션 구간을 정하고 각 구간별로 어떤 스타일을 적용시킬지 정하는 문법이다.
@keyframse를 사용하기 위해선 세가지가 필요하다.
- animation-name:사용자가 직접 지정한 이름,@keyframse가 적용될 애니메이션의 이름
- 스테이지: from-to 로 0~100%의 구간
- CSS 스타일: 각 스테이지(구간)에 적용시킬 스타일
opacity
opacity로 요소의 투명도를 정할 수 있다.
- 기본값:1
- 상속:no
- 애니메이션:yes
- 버전:CSS Level3
- 숫자가 클수록 불투명하고, 숫자가 작을 수록 투명해진다.
갤러리 게시판에서 마우스를 올렸을때, 기본과 다른 효과 주거나 이미지 배경 위에 문서 작성 시 글자 잘 보이게 배경색 줄 때 사용된다.
opacity 속성 경우, 지식요소에 상속되어 배경과 글자까지 모두 투명해져 글자가 선명하게 안 보임(이 경우엔 rgba 색상코드 이용해 배경색 표현
ex)
background:rgba (255, 255, 255, 0.5)
*0.5 부분이 불투명도에 해당.(0:완전 투명 ~ 1:완전 불투명)
'블록체인 sw개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ML] 사진,지도 삽입 (0) | 2023.06.26 |
---|---|
[HTML] 명함, 사진 (0) | 2023.06.22 |
[HTML] Keyframes, transition, transform (0) | 2023.06.20 |
[HTML] 이미지 정렬 (0) | 2023.06.19 |
[피그마] 웹사이트와 html (0) | 2023.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