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ckchain (4) 썸네일형 리스트형 DID(분산신원증명) 개념 현재 우리가 살아가는 시대를 정의하는 가장 상위의 키워드로 많은 전문가들이 디지털 전환을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사이버 세상뿐만 아니라 우리의 일상생활 속에 수많은 기기들이 네트워크와 연결되고 디지털 데이터로 소통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을 했고 의료, 교육, 제조 그리고 농축 수산까지 모든 분야에서 디지털 화가 빠르게 재현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디지털 시대에서 디지털로 전환되는 실생활 서비스 대부분은 디지털 ID를 필요로 하고 있습니다. 기존의 물리적인 매체에 기반했던 사용자 식별과 검증 수단이 디지털 서비스에서는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기존의 실물 ID는 빠르게 디지털 아이디로 전환되고 있는 중입니다. 사용자의 지갑과 주머니 속의 실물 ID는 모두 디지털 ID로 전환과정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Blockchain] 데이터 구조 header/body 블록체인의 구조를 이해하려면 블록(Block)의 기본 구성 요소인 "헤더(Header)"와 "바디(Body)"를 살펴보아야 합니다. 블록체인은 여러 블록이 연결된 체인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각 블록은 헤더와 바디로 구성됩니다. Block 블록은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단위로, 블록체인의 기본 구성 요소(객체)입니다. 각 블록은 이전 블록의 해시 값과 자신의 트랜잭션 데이터를 가지고 있습니다. 블록체인에서는 블록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블록 하나가 이전 블록의 정보를 참조하고 있는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Block Header 블록 헤더는 블록의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부분으로, 블록의 무결성과 신뢰성을 보장하고 보통 이전 블록의 해시 (Previous Block Hash), 타임스탬프 (Times.. [Blockchain] Merkle 머클 루트? 머클트리? 머클 루트(Merkle Root)와 머클 트리(Merkle Tree)는 블록체인에서 데이터의 무결성을 검증하고 효율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구조입니다. 이들은 주로 트랜잭션 데이터를 블록 안에서 관리하고 검증하는 데 사용됩니다. * 트랜잭션 -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수행되는 모든 활동이나 거래를 나타냅니다. 이는 디지털화된 자산 또는 가치가 전송되거나 변경되는 모든 과정을 포함합니다. 블록체인은 탈중앙화된 분산 시스템으로, 트랜잭션은 이러한 분산 시스템에서 안전하게 기록되어 블록이라는 단위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디지털화된 자산 전송, 분산 원장에 기록, 스마트 계약 실행, 암호화와 서명 등등 머클 트리(Merkle Tree): 머클 트리는 트랜잭션 데이터를 트리 구조로 구성.. [Blockchain] 개인키&공개키 블록체인에서 개인키(private key), 공개키(public key), 그리고 서명(signature)은 암호학적인 개념들로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트랜잭션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지갑의 구성 및 역할 기본적으로 암화화폐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고, 암호화폐를 전달하거나 받을수 있다. 자신의 소유권을 함호화 방식을 증명 지갑의 개인키를 사용해서 거래의 검증하고 본인의 자산을 관리 본인의 암호화폐의 보유량도 확인 지갑의 거래내역 확인 복구 문구를 사용해서 지갑복원(복구 문구를 가지고 특정 알고리즘을 거쳐서 개인키를 추출한다.) 신원 인증 방식 분산 원장기술 개인키(Private Key) 개인키는 블록체인 지갑의 주인만이 알고 있는 비밀 키입니다. 일련의 무작위 바이트로 구성되며, 매우 큰 숫자입니.. 이전 1 다음